728x90
SMALL

세금계산서, 누구에게 언제 발행해야 할까?
개인사업자로서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꼭 맞닥뜨리게 되는 게 ‘세금계산서 발행’입니다.
언제, 누구에게, 어떤 형식으로 발행해야 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, 세금 누락, 가산세, 신고 오류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세금계산서 발행 기준 정리
구분 | 일반과세자 | 간이과세자 |
---|---|---|
발행 의무 | 의무 (미발행 시 가산세) | 의무 없음 (발행 선택 가능) |
발행 대상 | 사업자 간 거래 | 요청 시 가능 |
발행 방식 | 전자세금계산서 (홈택스 또는 연동 프로그램) | 전자 or 수기 가능 |
세금계산서 발행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
- ① 거래일 기준으로 발행일을 정확히 맞췄나요?
월말 마감 후 발행은 가산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- ② 공급받는 자(고객)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정확히 입력했나요?
오탈자는 세금계산서 무효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 - ③ 금액, 공급가액, 세액을 구분해 기재했나요?
부가세 포함/제외 여부를 명확히 체크하세요. - ④ ‘수정세금계산서’ 발행이 필요한 경우인가요?
금액 오류, 공급자명 변경 등은 수정 발행이 원칙입니다. - 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후 ‘전송 여부’를 확인했나요?
홈택스 미전송 상태면 인정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.
세금계산서와 현금영수증은 다르다
세금계산서는 사업자 간 거래 시 필요한 법적 증빙자료이며,
현금영수증은 일반 소비자 거래나 지출증빙용으로 활용됩니다.
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는 경우엔, 지출증빙용 현금영수증을 꼭 챙겨두는 것이 좋습니다.
정리: 세금계산서는 사업자의 신용이다
세금계산서 발행은 단순한 의무를 넘어 사업자의 신뢰와 세무 투명성을 나타냅니다.
한 번 실수하면 가산세, 이중 신고, 매입세액 불인정 등 여러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
체크리스트를 따라 꼼꼼히 발행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728x90
LIST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인사업자도 부가세 환급 받을 수 있다 – 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정리 (0) | 2025.05.11 |
---|---|
개인사업자를 위한 현금영수증 완전 정리 – 발급 기준부터 세금 혜택까지 (0) | 2025.05.10 |
개인사업자 통장과 카드, 왜 반드시 분리해야 할까? (세무 리스크 방지법) (7) | 2025.05.08 |
1인사업자를 위한 간편장부 작성법 – 세금 줄이는 핵심 실전 가이드 (9) | 2025.05.07 |
1인사업자를 위한 홈택스 필수 기능 5가지 – 실전 꿀팁 총정리 (6) | 2025.05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