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SMALL
2025년 5월 프리랜서·1인 사업자를 위한 정부 지원금 총정리 (신청 자격·방법 포함)
2025년 5월,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**프리랜서·소상공인·1인 창업자 대상 정책자금과 지원 사업**을 본격 집행하고 있습니다. 특히 가정의 달 이후 자금 수요가 많아지는 시기이므로,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초기 운영 자금이나 생활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1. 소상공인 정책자금 (중소벤처기업부)
- 지원 대상: 사업자등록 후 6개월 이상 운영 중인 소상공인
- 지원 내용: 창업초기자금, 경영안정자금, 특례보증 등
- 신청 방법: 소상공인정책자금 온라인 신청
5월 특징: 1분기 마감 후 2차 심사 및 자금 지원 본격화 시기
2. 고용노동부 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
- 지원 대상: 고용보험 미가입 프리랜서 중 일정 소득 이하
- 지원 내용: 월 최대 50만 원 × 6개월
- 신청 시기: 5월~6월 사이 지역고용센터 접수
중요: 국세청 소득 신고 이력 필수 / 지난해 종합소득세 신고 내역 활용
3. 청년 창업지원 바우처 (지자체별 운영)
- 지원 대상: 만 39세 이하 초기 창업자
- 지원 내용: 교육비, 홍보비, 시제품 제작비 지원 (최대 300만 원)
- 접수 채널: 각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 또는 청년창업 플랫폼
TIP: ‘서울청년창업센터’, ‘경기창조경제센터’ 등 키워드로 지역별 검색
4.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(프리랜서·사업자 해당)
- 신청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지원 내용: 가구 유형에 따라 최대 330만 원 환급
- 신청 방법: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 접속
주의사항: 소득 기준 충족 시 지급, 반기 신청자도 정기 신청 가능 여부 확인 필요
5. 기타 확인해야 할 5월 중 신청 가능한 제도
- 국민내일배움카드 (직업교육 지원) – 1인 자영업자 신청 가능
- 청년희망적금 (특정 조건 충족 시) – 소득 연 3,600만 원 이하
- 문화누리카드 – 저소득층 창작자도 대상 포함 가능
맺음말
프리랜서와 1인 사업자도 정부 정책의 수혜 대상입니다. 단, 직업 특성상 홍보 부족이나 정보 접근이 어렵다는 점 때문에 지원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오늘 소개한 지원금과 정책은 5월 기준 실제 신청 가능한 항목이므로, 해당 자격 요건이 맞는다면 반드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.
728x90
LIST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리랜서의 불규칙 수입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3가지 방법 (2025 현실형 가이드) (1) | 2025.05.17 |
---|---|
프리랜서·1인사업자를 위한 2025년 국민연금 가입 전략과 현실 가이드 (0) | 2025.05.16 |
2025 근로장려금 지급 시기 및 신청 일정 총정리 (확정일 기준 안내) (2) | 2025.05.14 |
프리랜서가 꾸준히 일 받는 방법 TOP 5 (포트폴리오부터 플랫폼 전략까지) (7) | 2025.05.13 |
간이과세자도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를 받는다고? 헷갈리는 세금 정리! (3) | 2025.05.12 |